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3년 열대야 기준 온도와 기간은?

by 힝백서 2023. 7. 26.
반응형

지구온난화로 인해 점점 더 여름이 더워지고 길어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 밤중에도 열기가 가시지 않는 열대야 현상도 심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일반적인 열대야 기준 온도는 몇 도일까요? 아울러 2023년 열대야 기간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열대야란?

2. 2023년 열대야 기준 온도

3. 2023년 초열대야 기준 온도

4. 2023 열대야 예상 기간

 

[열대야란?]

밤이 되어도 기온이 내려가지 않아 더위가 이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낮에는 태양빛으로 인해 지면이 달궈지고, 뜨거운 것이 당연합니다. 한편, 태양이 저문 밤에도 낮과 같이 높은 기온이 이어지는 것을 열대야라고 일컫습니다.

 

[2023년 열대야 기준 온도]

밤 최저 기온 25도 이상

오후 6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의 최저 기온이 25도 밑으로 내려가지 않을 경우 '열대야 현상'이 발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3년 초열대야 기준 온도]

밤 최저 기온 30도 이상

최근에는 열대야를 넘어서 '초열대야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의 최저 기온이 30도 이상인 상황을 일컫습니다. 지구온난화가 심화되면서 초열대야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된 것으로 보입니다.

 

[2023년 열대야 예상 기간]

출처 : 기상청 https://data.kma.go.kr/climate/tropicalNight/selectTropicalNightChart.do

서울 기준 2023년 현재까지 열대야 현상은 총 6회 발생했습니다. 6월 28일 처음 시작하여 7월 3일, 7월 8일, 7월 12일, 7월 21일, 7월 24일 열대야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출처 : 기상청 https://data.kma.go.kr/climate/tropicalNight/selectTropicalNightChart.do

한편, 1991년부터 2020년까지 지난 30년 평균 열대야 발생 일수는 7월 4.8회, 8월 7.7회입니다. 올해는 6월에 1회, 7월에 5회 발생한 만큼 평균보다 더 많이 열대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난 30년간 8월 열대야 평균 횟수는 7.7회이기 때문에 올해 8월 동안 7.7회 이상의 열대야가 예상됩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이 이루어지면서 열대야 발생 횟수도 잦아지고 있습니다. 올해는 7.7회 이상의 열대야가 예상되는만큼 충분한 수분 섭취와 기온 조절에 신경써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모두 건강한 여름 나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