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해란 사람간에 전파되는 호흡기 질환으로, 주로 침과 콧물 등으로 인해 감염됩니다. 백일해는 '100일동안 기침'을 하게 될만큼 오랜 시간 기침을 하는 질병의 증상에서 이름을 따 불리게 되었습니다. 백일해는 나이가 어릴수록 사망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어린이의 경우 특히 주의해야하는 질환입니다. 그러나 예방접종을 통해 충분히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오늘은 백일해의 원인과 증상을 통해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살펴보겠습니다.
백일해 원인과 증상 살펴보기
1. 백일해 원인
'비말감염'
백일해는 '보르데틸라 백일해' 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균은 기침, 재채기 등을 공기중으로 퍼지게 되며, 사람을 감염시킵니다. 또한, 백일해에 걸린 사람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 쉽게 전파됩니다.
따라서 학생들이 밀접하게 모이고 접촉하게 되는 어린이집 또는 초, 중, 고등학교에서 쉽게 퍼질 수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백일해 자체가 전염성이 강력하기 때문에 유의해야 합니다. 백일해는 예방접종을 받지 않을 경우 전염에 더욱 취약하기 때문에 예방접종을 통해 사전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백일해 주요 증상
백일해는 약 7일~10일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발현되기 시작하며, 기침이 주요 증상입니다.
백일해는 3단계로 나누어 증상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1) 잠복기
잠복기 때에도 가벼운 증상이 확인됩니다. 이때는 콧물, 기침, 미열, 재채기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때문에 가벼운 감기로 생각하고 지나갈 수 있습니다.
2) 기침기
잠복기가 지난 후에는 본격적인 백일해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기침의 강도가 심해지며, 연속적으로 기침을 하게 되는 발작성 기침을 하게 됩니다.
기침을 하고난 후에는 '흡'하는 소리가 이어 나타납니다.
기침의 강도가 심각할 경우 얼굴 빛이 빨개지거나 파래질 수 있으며, 강한 기침으로 인해 구토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백일해 증상은 약 7일~42일, 또는 몇 달간 계속될 수 있습니다.
3) 회복기
기침 증상이 완화되는 시기입니다. 발작적으로 하던 기침의 빈도와 강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 시기에는 다른 호흡기 질환에 쉽게 걸릴 수 있기 때문에 감염에 유의해야합니다.
이렇게 백일해 원인과 증상을 살펴보았는데요, 이처럼 백일해는 전염성과 증상이 강한 호흡기 질환이기 때문에 사전에 예방접종을 통해 대비해야합니다. 특히 어린이에게 치명적인 질환이기에 예방접종을 맞지 않아 백일해에 감염된 경우에는 소아청소년과 또는 호흡기내과에 방문하여 빠르게 치료받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백일해의 원인과 증상 숙지를 통해 건강한 여름 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통 부위별 의심 질환 살펴보기: 위치마다 다른 원인 (0) | 2024.07.08 |
---|---|
요로결석 예방법 5가지 알아보기 (1) | 2024.04.20 |
요로결석 원인과 증상 5가지 (0) | 2024.04.20 |
칫솔 교체시기 및 주기 알아보기 (0) | 2024.02.12 |
뼈가 부러졌을 때 증상 대표 3가지 (1) | 2024.01.22 |